측정 가능한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목표 설정 방법론입니다.
<aside> ☝🏻 OKR은 아래 두 가지로 정의합니다. • Objective, 우리는 어디로 가고자 하는가? • Key Results, 그곳에 도착했는지 무엇으로 알 수 있는가?
</aside>
구성원의 동기부여
를 돕고, 조직의 목표
를 더 명확하게 만든다.
OKR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. 때문에 구성원 입장에서는 탑 다운(Top-down)으로 업무를 받아서 처리하지 않고, 스스로 업무의 의미를 파악하고 목표 지향적으로 일을 할 수 있습니다. KPI 방식을 활용할 때보다 구성원을 더 효과적으로 동기부여할 수 있죠. 이처럼 OKR을 활용하면, 성과 지표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, 성과를 만드는 과정까지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이 가진 공통의 목표에 모두가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.
각자의 OKR이 투명하게 공유
되어, 구성원 간의 협업
이 수월해진다.
KPI는 업무를 수행하는 구성원 개인과 몇몇 리더들에게만 공유됩니다. 하지만 OKR은 작성을 완료하면 전사에 공유해야 합니다. 모두에게 투명하게 공유된 목표와 성과 지표는 구성원끼리 서로의 업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. 이는 조직이 하나의 큰 목표를 향해 움직일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.
Objective | Key Result | |
---|---|---|
의미 | 목표 | 핵심결과 |
키워드 | 목표, 이유, why | 피드백, 확인, 점검 |
의의 | 우선순위 정의 | 목표을 구체적으로 정의 |
역할 | 영감을 주고 동기부여한다. |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.(예/아니오) |
정렬 | 궁극적으로 회사의 미션&비전을 지원 | O를 지원 |
규모 | 직관적으로 구성원을 동기부여할 수 있는 방향성 제시 | 추적할 수 있는 수치가 포함된 결과 |
등록 개수 | 1~4개 | 2~3개 (3개 이하 권장) |
유형 | 방향 | 결과 |
표현 | 영감적 | 구체적 |
측정 기준 | 정성적 | 정량적(숫자 포함) |
수정 빈도 | 수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음 | 웬만하면 수정하지 않고 분기 말에 회고를 통해 학습 |
기간
에 Objective
하고 싶습니다.기간
이 끝나는 시점에 Key Result 1
Key Result 2
Key Result 3
로 성공여부를 판단합니다.